내 용 : 지역 활동가의 주도적 나눔활동을 통한 아름다운 돌봄프로젝트
대 상 : 지역주민, 취약계층
내 용 :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도모하는 프로그램
대 상 : 서울에 거주하는 청소년
내 용 : 환경 캠페인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환경개선과 지역주민의 인식 전환을 주도하는 청소년 프로그램
대 상 : 서울에 거주하는 청소년
내 용 : 민간자원을 개발 하여 복지서비스로 연계하여 자율적 기부를 활성화하고 이용자와의 서비스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 내 상부상조하는 이웃문화를 활성화
대 상 : 홍은, 홍제 저소득 지역주민
내 용 : 기부문화 조성 및 확산을 위한 서명운동 등의 진행을 통해 잠정적인 후원자를 개발하고 복지관사업 홍보
대 상 : 서대문구 지역주민
내 용 : 월 1회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바자회 진행을 통해 복지기금 마련
대 상 : 홍은, 홍제 지역주민
내 용 : 지역 내 상점, 어린이집 방과후 교실 등을 대상으로 모금함 설치 및 관리를 통하여 소액후원자 및 잠정적 후원자 개발
대 상 : 홍은, 홍제 지역주민
내 용 : 주민과의 만남을 통해 진행 사업을 홍보하고 복지관을 알릴 수 있는 기점 마련
대 상 : 홍은, 홍제 지역주민
내 용 : 주민 욕구에 맞는 문화강좌 진행
대 상 : 홍은, 홍제 지역주민
내 용 : 공통된 관심영역과 욕구를 가진 지역주민의 소모임을 지원하는 프로그램
대 상 : 서대문구 거주 지역주민, 서대문구에서 활동하는 주민모임 3인 이상
내 용 : 각 사업별 사업수행에 필요한 자원봉사자를 개발하여 지역 내 다양한 인적 자원으로 활용
대 상 : 지역주민 전체
내 용 : 자원봉사자에게 안부 문자서비스를 제공하며 입원, 상해, 경조사 등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관리하고, 상·하반기 교육으로 자원봉사자의 봉사동기 부여
대 상 : 본 복지관 자원봉사자
내 용 : 자원봉사자의 수고를 격려하고 지지하는 나들이, 자원봉사자·후원자의 날 행사 진행
대 상 : 본 복지관 자원봉사자
내 용 : 지역사회 내의 네트워크 회의를 통한 사회복지서비스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, 지역사회 유관기관 및 협력기관의 다양한 복지행사 및 프로그램 참여
대 상 : 사회복지 기관
내 용 : 지역주민 및 복지관 이용자에게 외부 문화공연을 연계하여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 문화생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
대 상 : 복지관 이용자 및 지역주민
내 용 : 건강한 노후를 위한 글로벌 교육, 교양교육, 취미·여가 프로그램 등 주체적 활동 지원
대 상 : 만 60세 이상 어르신
내 용 : 문해 능력향상을 통해 기능적인 문해의 수준을 넘어 자신감을 획득하고 지역사회참여를 적극 유도
대 상 : 성인 비문해자
내 용 : 근로 능력이 있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과 사회참여를 돕기 위해 제빵 교육을 하여 건강먹거리를 제조․판매
대 상 : 만 60세 이상 어르신
내 용 : 가정 내 사용하지 않는 물품(재활용품)을 기증받아 물품을 판매하고 조성된 기금으로 지역사회 복지사업으로 사용
대 상 : 홍은, 홍제 지역주민
내 용 : 복지관의 다양한 사업 및 소식들을 담은 복지관 소식지 ‘좋은 선물’과 리플릿을 활용하여 복지관 홍보
내 용 : 복지관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사업을 소개하고 복지관 이용자와 봉사자, 후원자들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마련하여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
내 용 : SNS, 밴드 등을 활용하여 복지관의 주요사업을 홍보하고 소식지 발송, 외부전단홍보 등의 오프라인 홍보 진행
내 용 : 월 1회 복지관 이용자 및 웹진 수신 희망자를 대상으로 정기 웹진을 발송하여 복지관 사업 및 행사에 대한 정보 제공
내 용 : 복지관의 운영의 효율화와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운영위원회, 자문위원회, 실습지도, 사업평가회의, 사업보고서제작,
지역주민욕구조사, 직원교육 사업 진행
대 상 : 복지관 운영위원, 자문교수, 복지관 종사자, 지역주민, 예비사회복지사
내 용 : 복지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, 고충상담을 통해 복지관 이용환경을 개선하며, 직원들의 복리 후생을 위해 직원연수,
직원 고충을 수렴하여 이용자와 종사자의 만족도 높이고 고객복지와 직원복지 시스템 사업 진행
대 상 : 복지관 이용자, 복지관 종사자